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수익화/티스토리 따라하기

[왕초보 블로그 수익화 #2]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에 노출시키는 법 | 서치콘솔 등록 & 설정 방법

by 모제로 2025. 2. 8.

 

구글 서치콘솔 등록방법

 

[왕초보 블로그 수익화] 두번째!

 

안녕하세요! 수익형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함께 시작하며 알려드릴 모제로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블로그의 글이 구글 검색엔진에 빠르게 색인되고 노출되도록 도와주는 필수 도구입니다. 티스토리에서 '블로그 관리' - '플러그인' 메뉴에 들어가면 다양한 기능이 보이는데, 그중에서도 중요한 플러그인은 구글 서치콘솔, 구글 애널리틱스, 네이버 애널리틱스입니다.

먼저, 이번 글에서는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을 다루고, 이후에 애널리틱스 설정도 차근차근 설명드릴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하나씩 따라만 오시면 내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제대로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티스토리 플러그인 연결하기
  2. 구글 서치콘솔 접속하기
  3. RSS 및 사이트맵 제출하기
  4. 마무리

 

티스토리 플러그인 연결하기

1. [플러그인] - [구글 서치콘솔] 클릭 - 계정 연결하기

플러그인 연결

가장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의 플러그인에서 구글 서치콘솔을 찾아 계정 연결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런 다음 서치콘솔 홈페이지로 이동할거예요.

 

구글 서치콘솔 접속하기

1.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 후 계정 액세스하기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로 들어가셨다면 우선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해주세요. 앞으로 애드센스나 구글 애널리틱스 등에서도 구글 아이디를 사용하게 되니, 아직 아이디가 없다면 하나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기존에 서치콘솔과 연결해둔 다른 사이트가 있더라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에서는 여러 사이트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사이트가 있는 경우 속성 검색을 클릭하고, 속성 추가를 선택해 새로운 블로그를 등록하면 됩니다.

서치콘솔 계정 추가

2. 속성 추가 - URL 접두어 선택 - 티스토리 블로그 도메인 입력

서치콘솔 속성 유형 선택

오른쪽에 있는 'URL 접두어' 입력란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 형식으로 정확하게 입력해야 하며,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예를 들어 https://mozero.tistory.com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주소를 입력한 후 계속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진행하세요.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소유권 확인 창이 나타나면 '다른 확인 방법'을 선택하고 HTML 태그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구글이 제공하는 메타 태그 코드가 표시됩니다. 이때 '복사' 버튼을 눌러 태그를 복사해둡니다. 이 코드를 티스토리 설정에 붙여넣어 구글이 블로그의 소유를 확인할 수 있게 할 거예요. 복사를 마쳤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주세요.

 

3. 티스토리에 복사한 메타태그 삽입하기

여기서 잠시 티스토리로 돌아와주세요. 블로그 관리 메뉴에서 스킨 편집을 선택한 후 HTML 편집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때 경고나 알림창이 뜨더라도 걱정하지 말고 확인 버튼을 눌러 진행하면 됩니다.

메타태그 삽입

이제 방금 복사한 구글 서치콘솔의 HTML 메타 태그를 블로그에 삽입하는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서치콘솔 메타태그 삽입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HTML 편집 창이 뜨겠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실제로는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HTML 창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head> 태그를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페이지 상단부, 처음 4번째 줄 근처에 <head> 태그가 있으며, </head>도 비교적 위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찾기 어렵다면 아무 곳이나 클릭한 후, ctrl+F 단축키를 눌러 검색창에 </head>를 입력하면 바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ead> 태그를 찾으셨다면 </head> 앞을 클릭하고 엔터를 쳐서 한 줄을 띄워주세요. 이렇게 하면 태그를 깔끔하게 삽입할 공간이 생깁니다. 빈 줄이 생기면 방금 복사해둔 구글 서치콘솔 메타 태그를 그대로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태그를 정확히 붙여넣었는지 확인한 후, 오른쪽 위에 있는 적용 버튼을 클릭해 설정을 저장하세요. 이제 HTML 편집은 끝났고, 구글 서치콘솔에서 소유권 확인만 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됩니다.

 

4. 서치콘솔 페이지로 돌아와 소유권 확인하기

다시 구글 서치콘솔 홈페이지로 돌아가서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소유권이 확인됨'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내 블로그의 서치콘솔 등록이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부터 구글이 내 블로그를 정기적으로 크롤링하여 검색 결과에 반영하게 됩니다. 등록 후에는 사이트맵 제출이나 검색 성과 확인 같은 추가 설정도 진행하면 블로그가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RSS 및 사이트맵 제출하기

 

 

RSS와 사이트맵?

RSS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블로그의 새 글이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도록 해주는 피드입니다. 방문자나 검색엔진은 이 RSS 피드를 통해 최신 콘텐츠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형식: 보통 블로그의 RSS 주소는 https://블로그주소/rss 구성됩니다.
  • 기능: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이 블로그의 새로운 글을 빠르게 색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장점: 외부 RSS 리더기나 콘텐츠 집계 사이트에서도 활용 가능하여 다양한 경로로 트래픽을 유입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Sitemap)이란?

사이트맵은 웹사이트 내의 모든 페이지와 콘텐츠 구조를 한눈에 정리한 목록 파일입니다. 검색엔진이 사이트맵을 통해 블로그의 페이지 구조와 링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색인할 수 있습니다.

  • 형식: 사이트맵은 보통 XML 파일로 생성됩니다. 티스토리에서는 RSS 주소를 사이트맵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기능: 검색엔진이 블로그의 모든 글을 빠짐없이 색인하도록 돕고, 특히 새로운 글이나 업데이트된 페이지가 빠르게 반영되도록 합니다.
  • 장점: 블로그 글이 많을수록 검색엔진이 모든 페이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이트맵이 중요합니다.

RSS와 사이트맵 등록하기

RSS와 사이트맵이 무엇인지 정확히 모르셔도 됩니다. 우리는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것이 목표이니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사이트맵 등록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의 왼쪽 메뉴에서 'Sitemaps'를 클릭하세요. 옆에 새 사이트맵을 추가하는 페이지가 뜨면 내 블로그 주소가 자동으로 입력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옆의 빈칸에 sitemap.xml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눌러주세요.

제출버튼을 누르면 아래 '제출된 사이트맵' 부분에 한 줄이 추가되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사이트맵 가져올 수 없음

이때, 처음에는 '가져올 수 없음'이라는 문구가 뜨는 경우가 많은데요,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48시간 내에 '성공'으로 자동 변경될 수 있으니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빠르게 확인하고 싶으니 한 가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사이트맵 색인 생성 요청

서치콘솔 위쪽의 주소입력창에 내블로그주소/sitemap.xml 을 입력해주세요. 그런 다음 오른쪽 구석에 뜨는 '실제 URL 테스트' 버튼을 누르고 잠시 기다리면, URL을 Googlo에 등록할 수 있음으로 바뀌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눌러주면 모두 끝납니다.

 

서치콘솔 화면 위쪽의 주소 입력창내 블로그 주소/sitemap.xml을 입력해 주세요. 입력한 후, 오른쪽 구석에 보이는 '실제 URL 테스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이 사이트맵을 테스트하는 동안 잠시 기다려 주세요. 결과 화면에서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성공입니다. 이때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눌러 구글에 내 사이트맵을 색인하도록 요청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블로그의 모든 글이 구글 검색엔진에 빠르게 반영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사이트맵 등록이 완료되고 '성공'으로 바뀌기를 기다리는 동안 RSS도 함께 등록해 주세요. RSS 등록 과정은 사이트맵과 동일합니다.

  1. 구글 서치콘솔 > Sitemaps 메뉴로 이동합니다.
  2. 내 블로그 주소 옆의 빈칸소문자로 rss를 입력합니다.
  3. 제출하기 버튼을 눌러 등록을 진행합니다.

RSS 등록
rss 제출

rss를 제출하는 동안 아까 진행한 sitemap.xml이 '성공'으로 바뀐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s도 '가져올 수 없음'으로 뜬다면 아까의 색인생성요청 단계를 rss로 다시한번 반복해주세요.

 

마무리

여기까지 하면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효과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과정인 구글 서치콘솔 등록이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축하드립니다! 🎉 이제 구글이 블로그의 모든 글을 정기적으로 크롤링하고 검색 결과에 노출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아직 애드센스 신청과 블로그 꾸미기 등 몇 가지 중요한 단계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지금까지 잘 따라오셨던 것처럼 조금만 더 힘내시면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준비가 완료될 것입니다. 😊 계속해서 차근차근 진행해봅시다! 🚀

 

 

 

 

2025.02.07 - [수익형 블로그/티스토리 따라하기] - [왕초보 수익형 블로그 따라하기] #1.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및 최적화 세팅하기

 

[왕초보 수익형 블로그 따라하기] #1.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및 최적화 세팅하기

안녕하세요! 수익형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함께 시작하며 알려드릴 모제로입니다!티스토리 블로그 개설부터 운영을 위한 기본 설정, 유용한 팁 들을 처음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저

mozero.tistory.com

 

 

 

 

 

 


home top }